우리내 인생살이가? 春來草自生 靑春留不住(춘래초자생 청춘유불주) 봄이 오면 풀은 절로 나건만, 젊음은 붙들어도 달아 나네! 花有衆開日 人無更少年(화유중개일 인무갱소년) 꽃은 다시 필날이 있건만, 사람은 다시 소년이 될 수 없다네! 山色古今同 人心朝夕變 (신색고금동 인심조석변) 산색은 예나 지금.. 즐거운 漢字공부 2019.05.06
明心寶鑑 解析 明心寶鑑 凡戱無益惟勤有功 범희무익유근유공 대개 희롱하여 놀기만 하는 것은 유익함이 없고 부지런히 일일 해야 공이 있는 것이다 酒中不語眞君子주중불어진군자 財上分明大丈夫재상분명대장부 술 취한 가운데에서도 말이 없음은 참군자요 재물에 대하여 분명한 것은 대장부이다 勤.. 즐거운 漢字공부 2019.04.09
明心寶鑑 ( 25.勤學篇 ) 25.勤學篇 25-1. 朱子의 勤學文 勿謂今日不學而有來日하며 오늘 배우지 아니하고서 내일이 있다고 말하지 말며 물위금일불학이유내일 勿謂今年不學而有來年하라. 금년에 배우지 아니 하고서 내년이 있다고 말하지 말라. 물위금년불학이유내년 日月逝矣나 歲不我延이니 해와 달이 흐르니 .. 즐거운 漢字공부 2019.04.08
明心寶鑑 ( 24. 廉義篇 ) 24. 廉義篇 24-1. 印觀이 賣綿於市할새 / 인관이 장에서 솜을 파는데 인관 매면어시 有署調者以穀買之而還이러니 서조라는 사람이 곡식을 주고 솜을 사 가지고 돌아가는데 유서조자이곡매지이환 有鳶이 攫其綿하여 墮印觀家어늘 솔개가 나타나 그 솜을 채 가지고 유연 확기면 타인관가 인.. 즐거운 漢字공부 2019.04.08
明心寶鑑 ( 23. 孝行篇 (續)) 23. 孝行篇 (續) 23-2. 尙德이 値年荒厲疫하여 父母飢病濱死라 / 상덕은 흉년과 열병이 유행하는 때를 만나 상덕 치년황려역 부모기병빈사 부모가 굶주리고 병들어 죽게 된지라. 尙德이 日夜不解衣하고 盡誠安慰하되 성덕이 낮이나 밤이나 옷을 벗지 않고 상덕 일야불해의 진성안위 정성을 .. 즐거운 漢字공부 2019.04.08
明心寶鑑 ( 22. 八反歌 八首 ) 22. 八反歌 八首 22-1. 幼兒가 或詈我하면 我心에 覺懽喜하고 / 어린 아이가 혹 나를 꾸짖으면 내 마음은 기쁘게 느껴지고 유아 혹리아 아심 각환희 父母 嗔奴我하면 我心에 反不甘이라. 부모가 나를 꾸짖고 성내면 내 마음은 도리어 달갑게 여기지 않느니라. 부모 진노아 아심 반불감 一喜.. 즐거운 漢字공부 2019.04.08
明心寶鑑 ( 21. 增補篇 ) 21. 增補篇 21-1. 周易曰 善不積이면 不足以成名이요 / 선을 쌓지 않으면 이름을 이루기에 부족하고 선불적 부족이성명 惡不積이면 不足以減身이어늘 악을 쌓지 않으면 몸을 망치기에 부족하거늘 악불적 부족이감신 小人은 以小善으로 爲无益而弗爲也하고 소인은 조그마한 선으로서는 유.. 즐거운 漢字공부 2019.04.08
明心寶鑑 ( 20. 婦行篇 ) 20. 婦行篇 20-1. 益智書云 女有四德之譽하니 一日婦德이요 二日婦容이요 / 여자가 네가지 덕의 아름다움이 있으니 여유필덕지예 일일부덕 이일부용 첫째는 부덕이요 둘째는 부용이요 三日婦言이요 四日婦工也니라. 셋째는 부언이요 넷째는 부공이다. 삼일부언 사일부공 20-2. 婦德者는 不.. 즐거운 漢字공부 2019.04.08
明心寶鑑 ( 19. 交友篇 ) 19. 交友篇 19-1. 子曰 與善人居면 如入芝蘭之室하여 / 선한 사람과 같이 거쳐하면 향기로운 지초 난초가 있는 방안에 들어간 것과 같아서 여선인거 여입지란지실 久而不聞其香이나 卽與之化矣요 오래면 그 향기를 맡지 못하나 곧 더불어 그 향기와 동화되고 여이불문기향 즉여지화의 與不.. 즐거운 漢字공부 2019.04.08
明心寶鑑 (18. 言語篇 ) 18. 言語篇 18-1. 劉會曰 言不中理면 不如不言이니라. / 말이 이치에 맞지 않으면 말하지 않느니만 못하다. 언불중리 불여불언 18-2. 一言不中이면 千語無用이니라. / 한 마디 말이 맞지 않으면 천 마디 말이 쓸데없느니라. 일언부중 천어무용 18-3. 君平曰 口舌者는 禍患之門이요 滅身之斧也이.. 즐거운 漢字공부 2019.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