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량식의 유래와 내용문 상량식의 유래와 내용 상량식(上樑式)은 집을 지을 때 기둥을 세우고 보를 얹은 다음 마룻대를 올리는 의식입니다. 다음의 설명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마룻대는 건물의 중심이며 가장 중요한 부분이므로 재목도 가장 좋은 것을 사용한다. 또 마룻대를 올릴 때는 떡·술·돼지머리·북.. 교육42년사 2019.05.16
상량식의 유래와 내용 상량식의 유래와 내용 상량식(上樑式)은 집을 지을 때 기둥을 세우고 보를 얹은 다음 마룻대를 올리는 의식입니다. 다음의 설명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마룻대는 건물의 중심이며 가장 중요한 부분이므로 재목도 가장 좋은 것을 사용한다. 또 마룻대를 올릴 때는 떡·술·돼지머리·북.. 교육42년사 2019.04.08
일제 통치하의 창씨개명과 족보 족보 The Family Pedigree (1978) KoreanFilm 게시일: 2015. 12. 13.directed by IM Kwon-taek Dani, a Japanese official who works at the Gyunggi-do provincial government to have Koreans change their names to Japanese ones according to the Governor General's order. Sul Jin-young is a stubborn and proud Korean who refuse to change his name. Dani comes to respect Sul and falls in.. 교육42년사 2016.06.02
착각 하기 쉬운 漢字 表記 착각 하기 쉬운 漢字 表記 한글 표기 맞는 표기 틀린 표기 설 명 가정부 家政婦 家庭婦 家庭: 사회집단, 家政: 집안 살림을 다스림 각기 各其 各己 각기 저마다 개별적인 개념 강의 講義 講議 뜻을 풀어서 가르친다는 의미 경품 景品 競品 상품 이외에 곁들여 주는 물건 골자 骨子 骨字 일.. 교육42년사 2016.05.26
절하는 방법 절은 우리 전통의 인사법이다. 현재는 과거에 비해 절을 하는 경우가 줄어들었지만, 어른을 뵙고 예의를 갖춰 인사를 드릴 때나 관혼상제 등의 의식행사에서는 절이 빠질 수 없다. 특히 명절에는 절을 하고 어른께 덕담도 들으면서 몸에서 우러나오는 예를 느끼게 된다. 때와 장소에 따라.. 교육42년사 2016.03.04
설날 인사 설 설은 예로부터 세시(歲詩),세수(歲首),정초(正初), 원일(元日)등으로 불려왔습니다 한편 '사린다'라는 말에서 유래된'설'에는 '조심한다'는 의미도 포함되어있어 설레고 기쁜 날이기 보다는 한해가 시작된다는 뜻에서 모든 일에 조심스럽게 첫발을 내딛는 날이라 할것입니다 그런의미.. 교육42년사 2016.02.08
희망의 새해에는 소원성취하시고 행복하세요 표시하기클릭 지난해 베풀어주신 사랑과 聲援에 깊이 感謝 드리며希望찬 丙申年맞이하여 所望하시는 모든일 꼭 成就하시길 祈願합니다 더욱 健康 하시고 幸福 하시기를 祈禱드립니다 丙申 元頭 서울演好會 / 演好마을 카페 임원진 일동 民族의 靈山 白頭山의 雪景 Adieu Goodbye 2016年을 맞.. 교육42년사 2016.01.03
북한 걸작 미술작품 북한 걸작 미술작품 14점 [봄] 평양미술대 학부장역임(공훈) 김재혁 대표작:<만경대로 가는길>, <2.8문화회관이 보이는 곳에서>, <등꽃과 참새>, <화창한 봄날> 이들 작품은 조선미술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퇴근길] 국전(평양) 9회 특선 (인민) 리창. 아시아. 유럽 여러나라.. 교육42년사 2016.0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