孝領老人福祉타운 書藝2班 硏修資料
導 才 朴 錦 緖
1. 漢字 部首의 變形
부수로 쓰일 때 본래의 모양에서 달라지는 글자
* 人(인) → 亻(사람 인) * 水(수) → 氵(삼수변)
* 心(심) → 忄(심방변) * 手(수) → 扌(재방변)
* 邑(읍) → ⻏(우부방) * 阜(언덕 부) → 阝(좌부변)
* 肉(육) → ⺼(고기 육) * 刀(도) → 刂(선칼도방)
* 屮屮 (초) → 艹(초두머리) * 辵(착) → 辶(책받침)
* 犬(견) → 犭(개사슴록변) * 火(화) → 灬(연화발)
* 衣(의) → 衤(옷 의) * 老(로) → 耂(늙을로엄)
* 㔾(절) → 卩(병부 절)
Ⅱ. 字典(玉篇) 利用法
1. 部首索引 利用法(부수색인 이용법)
214자의 부수를 1획에서 17획수에 따라 분류해서 만들어 놓은 ‘부수색인’을 이용하여 한자 를 찾는 방법
① 찾으려는 한자의 부수를 알아본다
② 부수의 획수를 알아본다
③ 부수색인에서 구할 부수가 있는 곳을 찾는다
④ 부수를 뺀 나머지 부분의 획수를 센다
⑤ 구한 획수가 쓰여 있는 쪽을 보면 한자의 음과 뜻이 나와 있다
ex) 부수색인 이용법으로 ‘男’자 찾기
⒜ ‘男’의 부수인 ‘田’이 5획이므로 부수색인 5획에서 ‘田’을 찾는다
⒝ ‘田’자 아래에 적힌 쪽수에 따라 ‘田’의 부를 찾아 펼친다
⒞ ‘男’자에서 부수를 뺀 나머지 부분(力)의 획이 2획이므로 다시 2획 난의 한자를 차례로 살펴 ‘男’자를 찾는다
⒟ ‘男’자의 음과 뜻을 확인한다.
2. 總劃索引 利用法(총획색인 이용법)
찾고자 하는 한자를 부수색인으로 찾지 못할 경우 글자의 총획을 세어서 획별로 구분하여 놓은 총획색인을 이용하여 찾는 방법
① 찾으려는 한자가 총 몇 획인지 세어 본다
② 총획색인에서 찾으려는 획수부분을 본다
③ 거기에서 찾으려는 한자를 찾아 쪽수를 확인한다
④ 알아낸 쪽을 펼쳐 보면 찾으려 했던 한자의 음과 뜻을 확인할 수 있다
ex) 총획색인 이용법으로 ‘朝’자 찾기
⒜ ‘朝’자의 총획(12획)을 센다
⒝ 총획색인 12획 난에서 ‘朝’자를 찾는다
⒞ ‘朝’자 아래에 적힌 쪽수를 펼쳐서 ‘朝’자를 찾는다
⒟ ‘朝’자의 음과 훈을 확인한다 - 아침 조
3. 子音索引 利用法(자음색인 이용법)
이는 찾고자 하는 한자의 음을 알고 있을 때에 이용하는 방법
① 자전에서 같은 음으로 읽히는 한자를 모아 놓은 곳(자음색인)을 본다
② 그 곳에서 찾으려는 한자를 찾아 그 한자가 몇 쪽에 있는지 확인하다
③ 그 한자가 있는 쪽을 펼쳐 뜻을 확인한다
ex) 자음색인 이용법으로 ‘進’자 찾기
⒜ 자음 색인에서 ‘진’난을 찾는다
⒝ ‘진’난에서 ‘進’자를 찾는다
⒞ ‘進’자 아래에 적힌 쪽수를 찾는다
⒟ ‘進’자의 음과 훈을 확인한다 - 나아갈 진
'즐거운 漢字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千字文人文學 제2강 (0) | 2019.04.08 |
---|---|
千字文 人文學 제 1강 (0) | 2019.04.08 |
올바른 文書作成을 위한 한글 맞춤법 (0) | 2019.04.08 |
漢字 字體의 變遷過程과 四字成語의 理解 (0) | 2019.04.08 |
漢字의 筆順 (0) | 2019.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