孝領老人健康타운 書藝2班 硏修資料
導 才 朴 錦 緖
1. 한자의 필순
1. 위에서 아래로 쓴다. ⇒ 三, 工, 言, 客
2.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쓴다. ⇒ 川, 州, 外
3. 좌우 대칭될 때는 가운데 부분을 먼저 쓰고 왼쪽, 오른쪽의 순서로 쓴다.
⇒ 小, 水, 樂 (예외) 가운데를 나중에 씀 ⇒ 火, 性
4. 가로, 세로가 겹칠 때에는 가로획을 먼저 긋는다
⇒ 木, 支 (예외) 세로획부터 씀 ⇒ 田, 角, 推
5. 가운데를 뚫는 획은 나중에 긋는다. ⇒ 中, 車, 手
6. 허리를 끓는 획은 나중에 긋는다. ⇒ 女, 母 예외) 가로획을 씀⇒ 世
7. 책받침은 나중에 긋는다. ⇒ 道, 近, 建 (예외) 먼저 씀 ⇒ 起, 題, 勉
8. 오른쪽 위에 있는 점은 맨 뒤에 찍는다.⇒ 犬, 代, 成
9. 몸과 안이 있을 때는 몸부터 먼저 긋는다.⇒ 同 , 固, 內, 因
⇒ (예외) 우측이 터진 경우는 다름 : 區
10. 삐침은 파임보다 먼저 쓴다.(왼쪽 아래로 향한 것은 삐침,
오른쪽 아래로 향한 것은 파임) ⇒ 人, 文, 父
11. 삐침은 먼저 쓰는 것과 나중에 쓰는 것이 있다.
⓵ 가로획이 길고 왼쪽 삐침이 짧으면 왼쪽 삐침부터 쓴다. ⇒ 九
⓶ 가로획이 짧고 왼쪽 삐침이 길면 가로획부터 쓴다. ⇒ 力
12. 아래를 여운 획은 나중에 쓴다. ⇒ 也
Ⅱ. 한자의 부수
1. 정의 : 字典이나 玉篇에서 한자를 찾는 데 필요한 기본 글자이다.
즉 玉篇이나 자전에서 한자를 찾는데 필요한 길잡이가 되는 글자로서
소리글자인 한글의 자,모음이나 영어의 알파벳에 해당된다.
2. 유래 : 뜻글자인 한자의 특성상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 문자를 분류하고
정리의 필요성에 의해 중국 한나라 화가 許愼이‘說文解字5’를 만들어 540개로
분류한 후 18세기 초 청나라‘康熙字典’에서 214개로 분류해 오늘에 이름
3. 분류 및 배열
부수는 현재 1획부터 17획까지 총 214개로 이뤄지며 구조는 字源에 따라
象形字(형상을 본뜸) 149자, 指事字(추상적 상징) 17자, 會意字(의미끼리 결합)
21자, 形聲字(의미와 발음의 결합) 27자로 구성됨
4. 위치에 따른 명칭
⓵ 邊(변) : 부수가 글자의 왼쪽에 있는 경우⇒ 休 信 仙 伏(사람 인),
江 河 淸 海(물 수)
⓶ 傍(방) : 부수가 글자의 오른쪽에 있는 경우⇒ 政 改 放(등글월 문),
別 判 刊 利(칼 도)
⓷ 머리 : 부수가 글자의 위에 있는 경우⇒ 宙 宇 安 家(집 면),
花 草 英 苦(풀 초=초두머리)
⓸ 발 : 부수가 글자의 아래에 있는 경우⇒ 益 盛 盡 監(그릇 명),
應 惡 恩 思(마음 심)
⓹ 받침 : 부수가 왼쪽과 아래에 걸쳐 있는 경우⇒ 道 近 迎 送(쉬엄쉬엄갈 착),
起 趙(달아날 주)
⓺ 엄 : 부수가 위쪽과 왼쪽에 걸쳐 있는 경우⇒ 店 度 庭 府(집 엄),
居 尾 屋 尺 尼(주검 시)
⓻ 몸 : 부수가 글자를 둘러싸고 있는 경우⇒ 困 國 因(에울 담),
間 開(문 문),
匹 區(감출 혜)
街 術(다닐 행)
⓼ 제부수 : 부수 자체가 글자인 경우⇒ 一 日 月 山 木 目 石 雨 水 火 土 二 心 身 耳 手 足 子 金 龍 黑 靑 行 豆 面 高 風
[꼭 알아두어야 할 제부수]
한자 | 훈(뜻) | 한자 | 훈(뜻) | 한자 | 훈(뜻) | 한자 | 훈(뜻) |
高(고) | 높다 | 鼻(비) | 코 | 至(지) | 이르다 | 見(견) | 보다 |
谷(곡) | 골짜기 | 風(풍) | 바람 | 食(식) | 먹다 | 比(비) | 견주다 |
豆(두) | 콩 | 黑(흑) | 검다 | 自(자) | 스스로 | 臣(신) | 신하 |
老(로) | 늙다 | 赤(적) | 붉다 | 長(장) | 길다.어른 | 香(향) | 향기 |
馬(마) | 말 | 鳥(조) | 새 | 足(족) | 발,넉넉하다 | 飛(비) | 날다 |
米(미) | 쌀 | 瓦(와) | 기와 | 辰(진) | 지지,별이름 | 骨(골) | 뼈 |
非(비) | 아니다 | 色(색) | 빛,색채 | 行(행) | 가다.행하다 | 鼓(고) | 북 |
'즐거운 漢字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千字文人文學 제2강 (0) | 2019.04.08 |
---|---|
千字文 人文學 제 1강 (0) | 2019.04.08 |
올바른 文書作成을 위한 한글 맞춤법 (0) | 2019.04.08 |
漢字 字體의 變遷過程과 四字成語의 理解 (0) | 2019.04.08 |
漢字 部首의 變形 (0) | 2019.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