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42년사

한자의 필순

월명실 2014. 8. 31. 22:46

한자의 필순

 

1. 위에서 아래로 쓴다. , , ,

2.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쓴다. , ,

3. 좌우 대칭될 때는 가운데 부분을 먼저 쓰고 왼쪽, 오른쪽의 순서로 쓴다.

, , (예외) 가운데를 나중에 씀 ,

4. 가로, 세로가 겹칠 때에는 가로획을 먼저 긋는다

, (예외) 세로획부터 씀 , ,

5. 가운데를 뚫는 획은 나중에 긋는다. , ,

6. 허리를 끓는 획은 나중에 긋는다. , 예외) 가로획을 씀

7. 책받침은 나중에 긋는다. , , (예외) 먼저 씀 , ,

8. 오른쪽 위에 있는 점은 맨 뒤에 찍는다., ,

9. 몸과 안이 있을 때는 몸부터 먼저 긋는다. , , ,

(예외) 우측이 터진 경우는 다름 :

10. 삐침은 파임보다 먼저 쓴다.(왼쪽 아래로 향한 것은 삐침,

오른쪽 아래로 향한 것은 파임) , ,

11. 삐침은 먼저 쓰는 것과 나중에 쓰는 것이 있다.

가로획이 길고 왼쪽 삐침이 짧으면 왼쪽 삐침부터 쓴다.

가로획이 짧고 왼쪽 삐침이 길면 가로획부터 쓴다.

12. 아래를 여운 획은 나중에 쓴다.

 

한자의 부수

 

1. 정의 : 字典이나 玉篇에서 한자를 찾는 데 필요한 기본 글자이다.

玉篇이나 자전에서 한자를 찾는데 필요한 길잡이가 되는 글자로서

소리글자인 한글의 자모음이나 영어의 알파벳에 해당된다.

 

2. 유래 : 뜻글자인 한자의 특성상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 문자의 분류하고

정리의 필요성에 의해 중국 한나라 하가 許愼說文解字5를 만들어 540개로

분류후 18세기 초 청나라 康熙字典에서 214개로 분류해 오늘에 이름

 

3. 분류 및 배열

부수는 현재 1획부터 17획까지 총 214개로 이뤄지며 구조는 字源에 따라

象形字(형상을 본뜸) 149, 指事字(추상적 상징) 17, 會意字(의미끼리 결합)

21, 形聲字(의미와 발음의 결합) 27자로 구성됨

4. 위치에 따른 명칭

() : 부수가 글자의 왼쪽에 있는 경우休 信 仙 伏(사람 인),

江 河 淸 海(물 수)

() : 부수가 글자의 오른쪽에 있는 경우政 改 放(등글월 문),

別 判 刊 利(칼 도)

머리 : 부수가 글자의 위에 있는 경우宙 宇 安 家(집 면),

花 草 英 苦(풀 초=초두머리)

: 부수가 글자의 아래에 있는 경우益 盛 盡 監(그릇 명),

應 惡 恩 思(마음 심)

받침 : 부수가왼쪽과 아래에 걸쳐 있는 경우道 近 迎 送(쉬엄쉬엄갈 착),

起 趙(달아날 주)

: 부수가 위쪽과 왼쪽에 걸쳐 있는 경우店 度 庭 府(집 엄),

居 尾 屋 尺 尼(주검 시)

: 부수가 글자를 둘러싸고 있는 경우困 國 因(에울 담),

間 開(문 문),

匹 區(감출 혜)

街 術(다닐 행)

제부수 : 부수 자체가 글자인 경우一 日 月 山 木 目 石 雨 水 火 土 二 心 身 耳 手 足 子 金 龍 黑 靑 行 豆 面 高 風

 

[꼭 알아두어야 할 제부수]

한자

()

한자

()

한자

()

한자

()

()

높다

()

()

이르다

()

보다

()

골짜기

()

바람

()

먹다

()

견주다

()

()

검다

()

스스로

()

신하

()

늙다

()

붉다

()

길다.어른

()

향기

()

()

()

,넉넉하다

()

날다

()

()

기와

()

지지,별이름

()

()

아니다

()

,색채

()

가다.행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