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0강. 맑고 향기로운 군자의 삶
91. 소망과 소수, 권력을 미련 없이 버리다
兩疎見機하니 解組誰逼이라오
소광과 소수 두 사람은 낌새를 알아차리고
도장 끈을 풀었으니 누가 핍박 하겠는가
兩(두 양) 疎(트일 소) 見(볼 견) 機(틀 기)
解(풀 해) 組(끈 조) 誰(누구 수) 逼(닦칠 핍)
92. 청빈과 절개를 지킨 은둔 선비
索居閒處하니 沈默寂寥라
홀로 떨어져 살고 한가롭게 머무니 짐긴 듯 말이 없고 고요하구나
索(동아줄 삭) 居(있을 거) 閒(틈 한) 處(살 처)
沈(가라앉을 침) 默(잠잠할 묵) 寂(고요할 적) 寥(쓸쓸할 요)
93. 배우고 사색하며 실천하는 공자의 삶
求古尋論하고 散慮消遙하니라
옛것과 옛 생각을 찾고 의논하며 근심을 버리고 한가로이 거닐며 노닌다
求(구할 구) 古(옛 고) 尋(찾을 심) 論(말할 론)
散(흩을 산) 慮(생각할 려) 消(사라질 소) 遙(멀 요)
94. 자신을 알아주는 시대를 기다리다
欣奏累遣하고 戚謝歡招라
기쁜일은 아뢰어지고 근심은 내쳐지고
슬픔은 사라지고 기쁨은 손짓하며 부른다
欣(기뻐할 흔) 奏(아뢸 주) 累(묶을 누) 遣(보낼 견)
戚(겨레 척) 謝(사례할 사) 歡(기뻐할 환) 招(부를 초)
95. 연꽃과 잡초의 군사다움
渠荷的歷하고 園莽抽條라
도랑의 연꽃은 빛이 또렷하고 동산의 잡초는 죽죽 뻗어 우거졌다
渠(도랑 거) 荷(연 하) 的(과녁 적) 歷(지낼 력)
園(동산 원) 莽(우거질 망) 抽(뺄 추) 條(가지 조)
96. 비파나무와 오동나무의 기상
枇杷晩翠하고 梧桐早凋라
비파나무는 늦게까지 푸르고 오동나무는 일찌감치 시든다
枇(비파나무 비) 杷(비파나무 파) 晩(저물 만) 翠(물총새 취)
梧(벽오동나무 오) 桐(오동나무 동) 早(새벽 조) 凋(시들 조)
97. 삶을 정리하는 황혼의 풍경
陳根委翳하고 落葉飄颻라
묶은 뿌리는 말라 시들고 낙엽은 바람에 이리저리 흔날린다
陳(늘어놓을 진) 根(뿌리 근) 委(맞길 위) 翳(일산 예)
落(떨어질 낙) 葉(잎 엽) 飄(회오리바람 표) 颻(불어오는 바람 요)
98. 세속의 더러움을 벗어 던지다
遊鯤獨運하여 凌摩絳霄라
곤어는 홀로 자유롭게 놀다가 붉은 하늘을 넘어서 미끄러지듯 날아간다
遊(놀 유) 鯤(곤이 곤) 獨(홀로 독) 運(돌 운)
凌(능가할 능) 摩(갈 마) 絳(진홍 강) 霄(하늘 소)
99. 한나라 시대의 책벌레, 왕충
耽讀翫市하니 禹目囊箱이라
제자의 책방에서 글 읽기를 즐기니
눈길을 주어 책을 보면 주머니와 상자에 담아두는 것과 같다
耽(즐길 탐) 讀(읽을 독) 翫(가지고 놀 완) 時(때 시)
禹(하우씨 우) 目(눈 목) 囊(주머니 낭) 箱(상자 상)
100. 군자가 첫 번째로 경계해야할 것은 무엇인가
易輶攸畏이니 屬耳垣牆이니라
쉽고 가볍게 하는 것을 두려워해야하니 귀가 담장에 붙어있기 때문이다
易(쉬울 이) 輶(가벼울 유) 攸(바 유) 畏(두려워할 외)
屬(엮을 속) 耳(귀 이) 垣(담 원) 牆(담 장)
101. 청빈 낙도를 실천한 안지추
具膳飧飯하고 適口充腸이라
반찬을 갖추어 밥을 먹고 입에 맞추어 창자를 채우다
具(갖출 구) 膳(반찬 선) 飧(저녁밥 손) 飯(밥 반)
適(갈 적) 口(입 구) 充(찰 충) 腸(창자 장)
102. 굶주림 속에서도 학문과 배움을 추구하다
飽飫烹宰하고 飢厭糟糠이라
배부르면 고기요리를 먹기 싫고
굶주리면 술지게미와 쌀겨조차도 달갑게 먹는다
飽(물릴 포) 飫(뮬릴 어) 烹(삶을 팽) 宰(재상 재)
飢(주릴 기) 厭(싫을 염) 糟(전국 조) 糠(겨 강)
'즐거운 漢字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千字文人文學 제12강 (0) | 2019.04.08 |
---|---|
千字文人文學 제11강 (0) | 2019.04.08 |
千字文人文學 제9강 (0) | 2019.04.08 |
千字文人文學 제8강 (0) | 2019.04.08 |
千字文人文學 제7강 (0) | 2019.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