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 入敎篇
13-1.
하니 이요 하니 이요
/ 입신함에 의가 있으나 효도가 그 근본이요 상사에 예가 있으니 슬퍼함이 그 근본이요
하니 이요 하니 이요
싸움터에 질서가 있으니 용맹이 그 근본이 된다. 나라를 다스리는데 이치가 있으니 농사가 그 근본이 되고
하니 이요 하니 이니라.
나라를 지키는데 도가 있으니 후사가 그 근본이 되며 재물을 생산함에 시기가 있으니 노력이 그 근본이 되느니라.
13-3. 는 이요 는 이요
/ 글을 읽는 것은 집을 일으키는 근본이요 이치를 따름은 집을 잘 보존하는 근본이요
은 이요 은 이니라.
/ 부지런하고 검소함은 집을 잘 다스리는 근본이요 화목하고 순종하는 것은 집안을 가지런히 하는 근본이니라.
13-4.
는 하고 는 하고 는 하고
/ 일생의 계획은 어릴 때에 있고 일 년의 계획은 봄이 있고 하루의 계획은 새벽에 있으니
이면 요 이면 이요
/ 어려서 배우지 않으면 늙어서 아는 것이 없고 봄에 밭 갈지 않으면 가을에 바랄 것이 없으니
면 이니라. / 새벽에 일어나지 않으면 하루를 다스릴 수가 없다.
13-5.
은 하며 하며
/ 다섯 가지 가르침의 조목은 아버지와 자식 사이에는 서로 친함이 있어야 하며 임금과 신하 사이에는 의리가 있어야 하며
하며 하며 이니라.
남편과 아내 사이에는 분별이 있어야하며 어른과 어린이 사이에는 차례가 있어야하고 친구 사이에는 믿음이 있어야한다.
13-6. 은 이요 이요 이니라.
/ 세가지 본이 되는 것은 임금은 신하의 본이 되고 아버지는 자식의 본이 되고 남편은 아내의 본이 되는 것이니라.
13-7.
은 이요 는 니라.
/ 충신은 두 임금을 섬기지 않고 열녀는 두 남편을 섬기지 않는다.
13-8.
엔 이요 엔 이니라.
/ 벼슬을 다스림에는 공평함만 한 것이 없고 재물에 임함에는 청렴함만 한 것이 없다.
13-9.
를 하며 을 하며
/ 모든 일은 충정과 신의가 있어야하며 모든 행실은 반드시 돈독하고 공경스러워야 하며
을 하며 을 하며
음식은 반드시 삼가고 절제해야 하며 글씨는 반드시 정확하고 바르게 쓰며
를 하며 을 하며
용모는 반드시 단정하고 장엄하게 하며 의관은 반드시 엄숙하고 가지런하게 쓰며
를 하며 를 하며
걸음걸이는 반드시 안정되고 차분해야 하며 집에 머무를 때에는 반드시 바르고 고요하게 하며
를 하며 을 하며
일을할 때는 반드시 계획을 짠 뒤 시작하며 말을 할 때는 반드시 그실행여부를 고려해야 하며
을 하며 을 하며
떳떳한 덕행은 반드시 굳게 지키며 승낙을 할 때는 반드시 신중하게 응하며
하며 하라.
선을 보거든 마치 자기가 한 것처럼 여기며 악을 보거든 마치 자기의 허물인량 여겨라
는 이라
무릇 이 열 네 가지는 모두 내가 깊이 살피지 못한 것이니
하여 하노라.
이를 써서 자리 구석에 붙여 놓고 아침저녁으로 보고 경계를 삼으려 한다.
13-12. 닛고 무엇을 열 가지 도둑이라고 합니까?
이 요 이 요
/ 곡식이 익은 것을 재 때에 거둬들이지 않는 것이∼, 거두고 쌓는 것을 마치지 않는 것이 ∼
이 요 이 요
일없이 등불을 켜놓고 잠자는 것이∼, 게을러서 밭 갈지 않는 것이 ∼
이 요 이 요
공력을 들이지 않는 것이 ∼ , 오로지 교활하고 해치는 일을 행하는 것이 ∼
이 요 이 요
딸을 너무 많이 기르는 것이 ∼, 낮잠 자고 아침에 일어나기를 게을리 하는 것이 ∼
이 요 이 니이라.
술을 탐하고 환락을 즐기는 것이 ∼, 심히 남을 시기하는 것이 열 번째의 도둑입니다.
13-13. 는 닛고(무왕왈)
/ 집에 십도가 없는데도 부유하지 못한 것은 어찌 그렇습니까?
에 니다. / 그런 사람의 집에는 반드시 삼모가 있을 것입니다.(태왕왈)
닛고 / 무엇을 삼모라고 합니까?(무왕왈)
하여 이 요(태왕왈)
/ 창고가 새고 넘치는데도 가리지 않아 쥐와 새들이 어지러이 먹어대는 것이 ∼
이 요 이 니다.
거두고 씨 뿌림이 때를 놓치는 것이 ∼, 곡식을 퍼 흘리어 더럽고 천하게 다루는 것이 ∼
13-14. 는 닛고(무왕왈)
/ 집에 삼모도 없는데 부유하지 못한 것은 어찌하여 그럽니까?
에 , , , , ,
1그릇침 2잘못 3바보 4실수 5거슬림
, , , , 하여
6상서롭지 못함 7 종 8천격 9어리석음 10뻔뻔함이 있어
요 이니라.
스스로 그 화를 부르는 것이지 하늘이 재앙을 내리는 것이 아닙니다.
13-15. 하나이다. / 그 내용을 다 듣기를 원합니다.(무왕왈)
이 이요 이 요
/ 아들을 기르며 가르치지 않는 것이 ∼ 어린 아이를 훈계하지 않는 것이 ∼
이 요 이 이요
처음 아내를 맞아들여서 엄한 훈계를 하지 않는 것이∼ 말하기 전에 먼저 웃는 것이 ∼
이 이요 이 이요
부모를 봉양하지 않는 것이 ∼ 밤에 알몸으로 일어나는 것이 ∼
이 요 이 이요
남의 활을 당기는 것을 좋아하는 것이 ∼ 남의 말을 타기를 좋아하는 것이 ∼
이 요 이 이니라.
남의 술을 마시면서 다른 사람에게 권하는 것이 ∼ 남의 밥을 먹으면서 벗에게 주는 것이 ∼
라 이여 / 아아! 참으로 아름답고 진실하도다, 이 말씀이여
'즐거운 漢字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明心寶鑑 ( 15. 治家篇 ) (0) | 2019.04.08 |
---|---|
明心寶鑑 ( 14. 治政篇 ) (0) | 2019.04.08 |
明心寶鑑 ( 12. 省心篇 下 ) (0) | 2019.04.08 |
明心寶鑑 ( 11. 省心篇 上 ) (0) | 2019.04.08 |
明心寶鑑 ( 10. 訓子篇 ) (0) | 2019.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