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씨의고향(반남박씨)

윤달(閏月) 과 윤날(閏日)

월명실 2016. 3. 4. 23:12

윤달(閏月) 과 윤날(閏日)

知識 二十四節候 俗節

2016229일이 윤날(閏日)이다, 그래서 손길 닫는데로 모아 보았다,[해설자료]로 참고 바랍니다

1, 윤달 (閏月),

[太陰曆]東洋에서 옛날부터 사용하여온 陰曆으로 달()盈虛基本으로 하여 滿月로 부터 다음의 滿月까지의 日數一箇月作定하고 또한 太陽運行을 따라서(追從) 編成한 것이다,(-낱개,)

[]盈虛29() 으로서 結了가 되므로 29小月30大月을 두어서 121으로 하되 太陽曆하여 111不足 되므로 曆日 節侯 와의 差異調節 시키기 위하여 2또는 3마다 “ 1個月閏月을 둔다,

 

2, 윤일 (閏日)

[太陽曆]은 지금 세계 여러나라가 共通으로 使用하고 있는양력인 것이다, 太陽曆太陽運行基本으로 回歸年標準하여 編成한 것이다,

太陽春分點을 통과한 시간으로부터 再回春分點通過時刻 까지의 期間<一回歸年>平均 三百六十五日五時四十八分四十六秒가 되므로 實用上便宜三百六十五日一年으로 하고 四年마다 閏日 을 두고 回歸年端數調節 시킨다,

 

3, 大小,

[大月], , , , , , , 十二,월의 < 各月日數三十一 >로 하여 大月이라 하고,

[小月] , , , 十一月, 各月日數三十日 로 하여 이를 小月이라 하는바,

二月만은 <平年二十八日> 로 하고 <閏年에는 二十九日>:로 한다,,

 

4, 四季長短,

- 九十一日 前後,

- 九十四日 一時弱,

- 九十一日 前後,

- 八十八日 十五時 强,,,

5, 節 候,

[天文學的] (西洋式太陽曆) 으로는 春分, 夏至, 秋分, 冬至,<, , , ,> 四季起點으로 하고 있으며,

[陰曆으로] 立春, 立夏, 立秋, 立冬,四季起點으로 하여 節侯標準을 삼는바 曆書上二十四節이라는 것은 各 期間標準 氣候表示하기 위하여 한 것이요 各 節期間[約 十五日式] 이 된다,,

(위 글은 1948(단기4281)경에 정부수립과 더불어 국민의 교양을 높이고 사회생활의 도움을 주고자 발행된 것으로 생각되는 책에서 옮겨온 것입니다,[調査整理者註])

6); 閏月 (윤달)

금년甲午年(2014)9월에윤달이 들어서 十月墓祭[歲一祭]行祀

불편한 점이 매우 많아서 어렵고 [立冬]도 윤달에 들었다,

 

동국세시기閏月에 대한기록이 있어서 여기에적는다,

[원문] = 俗宜嫁娶 又宜裁壽衣 百事不忌 廣州奉恩寺 每當閏月 都下女人爭來供佛 置錢榻前 竟月絡續 謂如是則 歸極樂世界 四方婆媼 奔波競集 京外諸刹 多有此風, (- 자리탑, - 연락할락,)

[해설] = 우리나라 풍속에 한달이 가외로 있는 것을 윤달이라 한다,

혼례를 올리는데 좋고 또 수의를 만들어 두면 좋다고 하여 모두 이달 에 한다, 모든 일에 부정을 타거나 액이 끼이지 않는 달이다,

경기도 廣州 奉恩寺 에서는 윤달이 되면 서울장안의 부녀자들이 몰려들어 많은 돈을 佛榻(불탑)위에 놓고 불공을 드린다, 이같은 행사는 달이 다 가도록 계속 된다, 이렇게 하면 죽어서 극락을 간다고 믿어 사방의 노파들이 와서 정성을 다해 불공을 드린다,서울과 그밖의 다른 지방의 절에서도 이런 풍속이 많이 있다 (崔誠愚),,,

 

7); 晝夜 芝峰類說時令部 晝夜條,

하루를 12 時刻, 時刻8으로 나누고 ,

子時 午時에는 각각 二刻씩보탠다 그리하여 一晝夜는 모두 百刻이 된다,

[韓詩]에 말하기를‘120이 잠간 사이로구나(百二十刻須臾間)라고 하였다,

[지금의 일주야는 백각인데] 어찌 나라 때의 漏刻이 지금의 누각과 다를 리가 있겠는가?,

< 대체로 낮이니 밤이니 하고 말하는 것은 >

日出 후에서 日沒前 까지를 이라 하고

日沒 후에서 日出前 까지를 이라 한다이것은 曆家이다,,

 

(연천향교 도평 박동일 (원우) 調査整理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