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50. 9.
30. 전화(戰禍)로 폐허가 된
대전역.▲

▲
1950. 11. 24. 불타버린 서울역 앞 세브란스 병원.

▲
1950. 10. 7. 불타고 있는 김포 비행장.

▲
1950. 10. 18. 전화에 그을린 중앙청.

▲
1950. 10. 18. ”국파산하재(國破山河在) “,
멀리 북악산과 중앙청 돔이
보인다.

▲
1950. 9. 20. 왜관, 낙동강 철교 복구
공사.

▲
1950. 10. 12. 미조리호 군함에서
청진항을
향해 함포사격을 가하고 있다.

▲1950.
10. 20. 400여 명의 낙하산 부대가
평양부근에
투하되고 있다.

▲
1950. 12. 18. 북한군에 게 뿌린 귀순 권유
전단.

▲1950.
11. 2. 적십자사에서 피난민에게 구호물자를 나눠주고 있다.

▲1950.
10. 13. 경기도 파주, 참혹하게 학살된 시신들.

▲1950.
11. 1. 서울 중앙청 앞 지금의 문화관광부 자리.
주민들이
폐허더미에서 땔감이나 돈이 될만한 물건을 찾고 있다.

▲1950.
11. 2. 원산의 한 성당.
폐허가
된 성당 내부를 신도들이 청소하고 있다.

▲1950.
11. 6. 북한의 어느 농촌. 탈곡한 볏단을 달구지에 싣고 있다.

▲1950.
11. 6. 북한의 어느 농촌. 전란 중에도 추수를 하고 있다.
바람개비로
알곡을 가리는 농부들.

▲1950.
11. 19. 북한의 한 지하 무기 공장 내부.

▲1950.
11. 20. 국경지대.
미군들이
소달구지로 보급품을 운반하고 있다.

▲1950.
11. 18. 미군 폭격으로 파괴된 흥남 비료공장.

▲1950.
11. 18. 미군 폭격으로 파괴된 흥남 송전소.

▲1950.
11. 23. 함경도 갑산. 미군 폭격으로 성한 집이 드물다.

▲1950.
11. 1. 황해도 평산에 진격하는 유엔군을
두
여인이 전신주 뒤로 불안한 눈길로 바라보고 있다.

▲1950.
12. 4. 평양을 떠나 대동강을 건너 후퇴하는 국군.

▲1950.
12. 6. 황해도 사리원.
남행하는
피난열차에 피난민들이 몰려들고 있다.

▲1950.
12. 8. 경기도 금촌, 38선을 넘어 후퇴하는 유엔군 차량들.

▲1950.
12. 9. 끊어진 한강철교.

▲1950.
12. 10. 포화에 불타는 마을.

▲1950.
12. 12. 한강 부교를 통하여 후퇴하는 차량들.

▲1950.
12. 12. 피난민들이 한강을 나룻배로 건너고 있다.

▲1950.
12. 12. 유엔군들이 인천항을 통해 장비들을
후송시키고
있다.

▲1950.
12. 12. 유엔군들이 후퇴하면서
다리를 폭파시키고자 폭약을 장치하고
있다.

▲1950.
12. 3. 평양, 남행 피난민 행렬 속의 한 소녀.

▲1950. 12. 10. 중공군의 참전으로 강추위 속에 후퇴
행렬.
한 병사가 너무 추운 날씨로 모포를 뒤집어
쓰고
있다.

▲
1950. 12. 12. 흥남부두, LST 함정에 가득 탄 군인과
피난민들. 미처 함정에 오르지 못한 피난민들이
발을
동동거리고
있다.
대부분의 피난민들은 원자탄이 투하된다는 말에 피난
행렬에
나섰다고 한다.
몇 날의
피난 길이
50년이 더 지났다.

▲1950.
12. 14. 서울역, 남행 피난민들이 북새통을
이루고
있다.

▲1950.
12. 16. 흥남,
국군과 유엔군들이 후퇴하고자 부두에서
수송선을
기다리고
있다.

▲1950.
12. 27. 흥남, 얕은 수심으로 수송선이 해안에
닿을 수
없자
유엔군들이 바다에
뛰어들어
LST로 가고 있다.

▲1950.
12. 24. 흥남, 유엔군들이 철수 후 부두를
폭파시키고
있다.

▲1950.
12. 19. 묵호. 흥남에서 철수한 장비를
묵호(동해)항에
내리고 있다.

▲1950.
12. 28. 서울, 피난민 들이 강추위 속에
한강 얼음을 깨트리며 나룻배로 남하하고
있다.

▲1951.
1. 5. 피난 행렬 속의 소년과 소녀.
소달구지가 힘겨워하자 힘을 보태고
있다.

▲1950.
10. 11. 서울 교외, 부서진 북한군 전차 위에서
아이들이
놀고 있다.

▲1950.
11. 1. 전란으로 폐허가 된 서울.

▲1950.
12. 28. 끊어진 한강 철교. 오른쪽은
임시로
만든
부교.

▲1951.
1. 3. 한강 철교 부근의 언 강을 피난민들이
걸어서
건너고 있다.

▲1951.
3. 16. ���중구의 수도극장(
현
스카라 극장)
일대.

▲1951.
3. 16. 하늘에서 내려다 본 중앙청 광화문
세종로
일대.

▲1951.
3. 16. 비행기에서 내려다 본 왕십리 일대.
멀리 고려대학교 건물이
보인다.

▲1951.
3. 16. 하늘에서 내려다 본 서울역 일대.

▲1951.
3. 16. 하늘에서 내려다 본 중앙청, 경복궁,
수송동,
팔판동 일대.

▲1951.
3. 19. 구호 양곡을 먼저 탄 소년과 양곡을
타기위해
줄을 선 주민들.

▲
1950. 10. 12. 원산. 학살된 시신들.

▲1950.
12. 11. 고단한 피난길.

▲1950.
12. 16. 폭격에 엿가락처럼 휘어진 철교.

▲1950.
12. 17. 보급품을 실은 화물 열차가 폭격에
불타고
있다.

▲1950.
12. 18. 대구.
훈련소에서 교육을 마친 신병들이 전선으로 가고자
대구역전
광장에 집결해 있다.

▲
1950. 12. 18. 전방으로 떠나는 신병들.

▲1950.
12. 18. 대구역. “총알을 요리조리 잘 피해서
어예든동
살아 오이라.”
“어무이 걱정 꽉 붙들어 매
이소. 어무이 아들 아잉기요.
내는 꼭 살아 돌아올
깁니다.”

▲1950.
12. 21. 경북 왜관. 낙동강 철교 어귀에 부서진
북한군
소련제 탱크.

▲1951.
1. 20. 아버지와 아들의 피난길. 다른 가족은
전란에
모두 죽었다.

▲1950.
6. 18. 6.25 한국전쟁 발발 일주일 전 의정부
북방 38
접경에서 미 국무장관 덜레스 (가운데)
일행이
38선너머 북쪽을 살피고 있다.
(덜레스 오른쪽 신성모 국방장관).

▲1950.
6. 18. 미 국무장관 덜레스 일행이 38 접경
지대를
살피고 있다.

▲1950.
7. 한미 수뇌부들이 환담하고 있다.
(왼쪽부터 조병옥 내무장관, 신성모 국방장관, 무초
주한
미대사,
임병직
외무장관, 워커 주한 미군 사령관).

▲
1950. 7. 26. 맥아더 장군이 전선을 시찰하는 중,
종군기자들의 질 문에 답하고
있다. 오른쪽 워커 장군.

▲
1950. 8. 15. 이승만 대통령과 신성모 국방장관이
8.15
경축식을 끝낸 후
임시 국회의사당인 문화극장을 떠나고
있다.
신 국방장관은 “아침은 서울에서
먹고, 점심은 평양에서---“ 라고 상대의 전력도
모른 채 큰 소리쳤으나 6.25 발발 후 서울시민은 팽개치고 몰래 서울을
빠져나갔다.

▲
1950. 8. 18. 백선엽 장군(가운데)이 미군과 함께 작전을 세우고 있다.

▲
1950. 9. 16. 구포 신병 훈련소에서 훈시하는
이승만
대통령.

▲
1951. 2. 7. 전선을 시찰하는 맥아더 장군.

▲
1951. 2. 15. 대한민국 해상 이동방송선(HLKT)을 방문한
장면
총리 일행.

▲
1951. 9. 콜트 미 8군 부사령관의 이임식장.
(왼쪽부터 허정, 콜트, 무초 주한 미대사)

▲
1950. 10. 22. 평양, 북한 주민의 학살 현장. 누가 그들을 죽였을까?
ⓒ2004
미국 문서기록보관청.

▲
1950. 11. 2. 거리에 버려진 아이들이 트럭에 실려 고아원으로 가고 있다.
눈망울이
초롱초롱한 아이는 그 후 어떻게 되었을까?

▲
1950. 11. 11. 바지 저고리들의 포로들. 총이나 한 번 제대로
잡아보고
포로가 되었는지< /strong>?
ⓒ2004
미국 문서기록보관청.

▲
1950. 11. 13. 함흥 덕산광산.
482명을 생매장한 갱도에서 시신을 꺼내 늘어놓은 것을 한 아버지가
아들을
찾고 있다.
“제발 내 아들이 아니기를...”

▲
1950. 11. 13. 지아비가 생매장된 갱도 어귀에서 오열하는 지어미.
“날라는
어찌 살라 하고 가시리잇고” ⓒ2004
미국 문서기록보관청.

▲
1950. 8. 12. 북한군 포로.

▲
1950. 8. 10. 폭격으로 불타는 마을.

▲
1950. 8. 10. 핫바지들을 인솔하는 미 해병대.

▲
1950. 7. 29. 경북 영덕, 포화에 쫓기는 피난민.

▲
1950. 7. 29. 경북 영덕.
남자는
등에 지고 여자는 머리에 이고 지향없이 떠나는 피난민 행렬.

▲
1950. 7. 29. 경북 영덕, 논두렁에 머리를 처박고 죽은 북한군
병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