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근피 (느릅나무 뿌리껍질) ◑ 음식 |
◑ 감자
감자는 대표적인 알칼리성 식품으로서 삶든가 구어도 파괴되지 않는 비타민 C를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고기의 독을 없애주는데 고기에서 발생하는 산을 중화시키는 작용을 한다.
◑ 연근
연근은 연꽃의 알뿌리를 말하며 수렴 작용이 강하여 어혈과 염증을 풀어주는 효과가 있다. 지혈 작용도 있어서 각종 출혈증에도 좋으며 자양 작용이 있어서 자주 먹어도 무방하다.
◑ 무
무즙에는 가래나 담을 없애주는 거담 작용과 더불어 약간의 해열 작용도 있다. 코감기가 걸렸거나 가래가 넘어갈 때, 가래섞인 기침을 할 때 무와 생강을 강판에 갈아서 따뜻한 물에 설탕을 조금 타서 마시면 효과적이다. 아린 맛이 자극이 되면 이것을 약한 불에 10분 정도 끓여서 먹어도 된다.
◑ 비염에 좋은 약초 ... 아불식초, 산목련, 탱자열매, 참외꼭지
아불식초는 미나리과에 딸린 여러해살이풀로서 아불식초 도는 지혈초라 불리며 어떤지방에서는 중대가리풀이라고도 부른다. 들판의 그늘진 곳에 흔히 자생하고 있는 아불식초는 따뜻한 남쪽지방에 분포하며 이름처럼 지혈작용을 하는 약초이다.
이뇨, 해독, 소종 등의 효능이 있어서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증세, 신장염, 신장결석, 간염, 황달, 인후염 등을 낫게하며, 백내장이나 악성 종기에도 잘 듣는다.
아불식초는 폐의 기능 실조로 폐 경락에 풍열이 차서 생기는 모든 증상에 탁월한 효능이 있다. 그 성질이 맵고 평하기 때문에 원기를 손상하지 않고 막힌 기운을 풀어헤쳐 코의 기능을 회복시킨다. 그래서 역대 명의들은 코질환에 아불식초를 꼭 사용했던 것이다.
아불식초, 산목련꽃, 참외꼭지, 탱자열매를 닳여서 그 물를 먹으면 좋다.
간단하게 먹으려면 산목련꽃 몽우리와 아불식초를 1:1로 닳여서 먹으면 아주 효과적이다. 산목련꽃은 몸 속의 찬 기운을 몰아낸다. 콧속의 막힌 기운을 뚫어준다. 비염, 알레르기성 비염, 축농증, 풍한 두통, 풍한 치통에 쓴다.
보통 코질환에 느릅나무를가 많이 쓰는데 느릅나무가 염증 치료는 좋으나 완치를 못한다는 결점이 있다.
반면에 아불식초는 코질환 개선 뿐만 아니라 체내 면역도 올려주기 때문에 완치에는 꼭 필요한 약초이다. 문제는 채취 시기나 방법이 까다로워 많은양을 확보하지 못한다는 점이 단점이라고 할 수 있다.
◑ 그 밖에 관련된 약재(약초)로는 덜익은 탱자나무 열매(지실), 참외(첨과), 참외꼭지(과체) 등이 있다.
탱자(열매)는.... 맛은 쓰고 매우나 성질은 따뜻하다. 건위, 소화불량, 진통효과가 있고, 고환종창, 유방염, 자궁하수, 음주해독, 알레르기 치료, 콧속의 염증을 낫게한다.
참외꼭지(과체)는...성질은 차고, 쓰고, 유독하다. 구토재료의 원료이고 전신 부종과 담음(신장이 나빠 붓는 것과 몸 속의 어혈탁한 피)을 제하며,황달(간염)과 과식을 억제하며 특히 콧속의 불순물을 제독한다.
◑ 축농증에는 ... 목련꽃, 아불식초, 탱자, 참외꼭지, 금은화 각 8g씩을 준비한후 탱자는 불에 약하게 볶고 참외꼭지는 말려 가루를 낸다. 물 500cc 붓고 달여 마신다. 참외꼭지는 축농증이 심할 때 분말 하여 콧속에 0.2g 불어넣으면 노란 액이 흘러 나오면서 낫는다. 꿀과 녹두가루를 합하여 환으로 만들어 장복해도 좋다.
◑ 알레르기성 비염... 산목련꽃, 아불식초, 탱자, 참외꼭지, 금은화, 유근피, 시호, 맥문동, 오미자 각 12g씩을 준비한후 탱자와 유근피는 불에 볶고 맥문동은 심을 뺀다음 환약을 만들어 장복해도 좋다.
◑ 비염 관련 약초 : 돌복숭아가지, 둥근마, 풀동충, 뱀딸기, 벌등골나무, 아불식초, 사슴풀, 와송, 번행초, 산목련꽃 등
'건강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매 예방 프로그램 (0) | 2014.11.01 |
---|---|
걷기에 생각나는것들 (0) | 2014.10.30 |
양파로 독감예방하는 법(모셔온 글) (0) | 2014.10.29 |
치매 예방게임 - 연결된 같은 짝 찾아 삭제하기 (0) | 2014.10.28 |
어느집안의 長壽 秘訣 (0) | 2014.1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