링컨 대통령의 사생활을 엿볼 수 있는 곳
링컨 주택 (President Lincoln's Cottage)
링컨 주택 전경
(출처: 링컨 주택 이벤트 브로셔)
국가 기념물(National Monument)로 지정된 링컨 주택은 링컨이 대통령 재임시절 더위를 피하거나 머리를 식히기 위해 가족들과 함께 머물렀던 곳으로, 링컨의 가장 큰 업적 중 하나인 노예해방선언문을 작성한 곳이기도 하다. 워싱턴D.C. 중심부에서 북쪽으로 조금 떨어진 곳에 위치한 이 집은 퇴역군인 전용 주거지 (Armed Forces Retirement Home, 또는 Soldier’sHome) 대지 안에 자리하고 있으며, 고딕 복고조 양식으로 1842년에 지어졌다. 링컨 주택 옆에 로버트 H. 스미스 방문객 교육센터 (Robert H. Smith VisitorEducation Center)가 있어 관련전시나 정보제공을 하고 있다. 휴무 없이 매일관람이 가능하나 가이드 투어로만 가능하고 방문객 센터에서 미리 티켓을 구입하여야 한다.
미국의 16대 대통령 링컨
아브라함링컨 (Abraham Lincoln)은 미국의 제 16대대통령으로 1861년에 취임해 1865년 피살될 때까지 재임하였다. 그가 대통령으로 취임한 해에 남북전쟁이 발발하였는데, 링컨은 북쪽을지도하며 노예제도의 폐지와 함께 남북의 평화를 기원하였다. 워싱턴D.C.에 링컨 기념관이 있을 정도로 링컨은 지금까지도 존경 받는 인물로 많은 중요한 활동과 업적을 이루었다. 그 중 가장 중요한 업적 중 하나로 꼽히는 것이 1863년에 공포한 노예해방선언문이다.
또한 링컨은 게티즈버그국립묘지 헌정기념식 연설에서 ‘국민에 의한, 국민을 위한 국민의 정부는 지상에서 영원히 사라지지않을 것이다’ 라는 불멸의 말을 남겼다. 이는 남북전쟁의격전지였던 게티즈버그에서의 수많은 전사자들을 기리기 위해 1863년 링컨이 했던 연설의 한 부분인데그것이 전설처럼 지금까지 남아있다.
링컨 대통령, 1863
(출처: 위키피디아, "Abraham Lincoln November1863" by Alexander Gardner,
http://www.britannica.com/bps/media-view/112498/1/0/0.Licensed under Public domain via Wikimedia Commons, http://commons.wikimedia.org/wiki/File:Abraham_Lincoln_November_1863.jpg#mediaviewer/File:Abraham_Lincoln_November_1863.jpg)
링컨 주택
백악관을 제외하고 링컨의 대통령 재임시절과관련된 가장 중요한 역사적 장소인 이 곳은, 링컨과 그의 가족들이 대통령 재임시절의 1/4을 머물렀고, 링컨이 나라의 중요한 결정들을 한 장소이다. 링컨 주택에서 백악관까지는 약 5km정도 밖에 떨어져 있지 않아그는 이곳에 머무는 동안 백악관으로 출퇴근을 하였다.
링컨 주택은 원래 조지 W. 릭스 (George W. Riggs)가 1842년 본인의 집으로 지은 것이다. 워싱턴 중심부가 내려다보이는언덕 위에 위치한 이 집은 건축가 존 스컬빙 (John Skirving)이 고딕 복고조 양식을 적용해디자인하였다. 1851년 미국 정부가 참전용사들을 위한 집을 만들기 위해 이 곳을 구매하였고 이 집을포함하여 주변 땅들은 군인 전용 주거지로 형성되었다.
남북전쟁이 발발하고 1862년 링컨은 군인 전용 주거지인 이 곳에 머물도록 초대받았고 그 이후로1864년까지 링컨 주택을 별장처럼 사용하며 총 13개월을 머물렀다. 복잡한 정세 속에서 링컨 주택은 링컨에게 기분전환과 사생활을 즐길 수 있는 곳이었고, 중요한 결정을 내릴 때는 조용히 생각할 수 있는 장소였다. 그는이 곳에서 여러 인사들을 만나며 회의를 하였는데, 유명한 노예해방선언문도 이 곳 링컨 주택에서 작성되었다. 1864년에는 남부 연합군의 공격을 피해 가족과 함께 피신을 오기도 하였다.
오늘날 링컨 주택은 손상되지않은 채 원래의 모습을 유지하며 군인 전용 주거지(지금은 퇴역군인들을 위한 주거지로 사용되고 있음) 안에 그대로 자리하고 있다. 2000년, 클린턴 대통령에 의해 국가 기념물 (National Monument)로지정되었다.
퇴역군인 전용 주거지안에 있는 링컨 주택과 정원
(출처: 링컨 주택 홈페이지)
링컨 주택, 1863: 링컨이 머물렀을 당시의 링컨 주택의 모습
(출처: 미국 내셔널 트러스트 홈페이지)
내셔널 트러스트의 링컨 주택 보전
시간이 지나며 링컨 주택은 주택이 아니라 사무실로 사용되어왔고, 지속적인 사용과 노후된 설비들로 인해 시급한 보수가 필요해졌다.그러나 자금이 부족하여 가장 기본적인 수준의 보수만 해왔고 건물은 계속해서 손상되어 갔다. 게다가앞으로 이 건물을 유지·보수해 나가기 위한 자금은 더더욱 없어 이대로 방치될 위기에 놓였다. 이에 미국 내셔널 트러스트는 2000년 링컨 주택을 ‘훼손 위기에 처한 11곳의 역사적인 장소들 (11 Most Endangered HistoricPlaces)*’로 선정하여 보호하기에 나섰다.
(*미국 내셔널 트러스트는 매년 11곳의 훼손 위기에 처한 역사적 장소들을 선정하여 사람들에게 인식시키고 더 이상 훼손되지 않고 보호받을 수 있도록노력하고 있다.)
시민들에게 링컨이 살았고 일했던 곳을 보여줌으로써 링컨과그의 대통령 시절에 대해 배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해, 2000년 내셔널 트러스트가 링컨 주택을 보전하기로결정하였다. 이 후 8년에 걸친 복원작업과 고고학 조사가진행되었는데, 이는 내셔널 트러스트의 기금모금에 의한 후원금으로 이루어졌다.
링컨 주택의 복원작업은 외부와 내부 모두 링컨과그의 가족들이 살았던 시절의 모습을 기준으로 이루어졌는데, 건물 외부의 복원작업은 2005년 4월에, 내부복원작업은 일반에 공개하기 직전인 2008년 2월에 완성되었다. 몇몇 방은 자료조사 등을 통해 링컨이 살았던 당시를 재현해 가구를 배치해 놓기도 하였다. 150억 원 이상을 들여 복원한 이 집은 2008년 처음으로 일반에 공개되었다. 지금껏 보여지지 않은 링컨과 그의 가족들의 삶을 가까이에서 느낄 수 있는 장소로 오픈 이후에도계속해서 보전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현재 정부지원 없이 회원들의 회비,기부금, 입장료 등을 받아 관리와 개발을 하고 있다.
링컨 주택의 외부 복원 작업
(출처: 링컨 주택 홈페이지)
링컨 주택의 내부 복원작업을 하던 중 2007년, 현관 벽에서 페인트로 칠해진 장식을 발견하였다. 작업을 시작할 당시에는 금속판으로 덮여있었으나 복원작업을 진행하면서 그 금속판을떼어내었고 그 안에 숨겨져 있던 벽 페인팅이 드러난 것이다. 이 장식은 벽에 나무 패널을 설치해 놓은것 같은 효과를 내도록 그려진 것이었다. 아직 조금 더 조사가 필요하지만, 페인트 조각을 분석한 예비 조사에 의하면 이는 링컨이 살았을 당시에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발견 당시 벽 페인트 장식은 수분 침투로 인해 손상된 상태였다. 몇년 동안 링컨 주택의 습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했으나 페인트 장식의 계속적인 손상을 막을 수는 없었고, 미국내셔널 트러스트는 역사적 유적에 대한 자체 보조금을 이용해 현 상태에 대한 분석과 기록, 복원에 힘썼다. 그리고 추가적인 보조금을 투자 받아 링컨 주택의 습기 문제를 해결하고, 링컨이살았던 당시의 전체적인 현관의 모습을 알기 위해 벽 페인트 장식의 정밀 분석과 어떻게 복원할 것인가에 대해 연구할 예정이다.
또한 2011년에는 링컨 주택에서 1860년도의 ‘그려진 사진’이 발견되었다. 이 그려진 사진 속의 주인공은 링컨 주택 최초의 주인인 조지 릭스의 부인 자넷 릭스이고, 그녀가 주택 앞에서 있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
발견된 현관 벽 페인트 장식
(출처: 링컨주택 홈페이지)
복원된 링컨 주택의 내부 사진들
*사진 출처:
Donald’sBlog ‘Touch the Elbow-Blogging the Civil War’
http://www.18thmass.com/blog/index.php?itemid=355,
PostedApril 18, 2008, Picture taken April 11, 2008
(글 출처: 미국 내셔널 트러스트 (National Trust for HistoricPreservation) 홈페이지
& 링컨 주택 (President Lincoln’s Cottage) 홈페이지)
'지구촌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0만명 구름 인파 몰린 광화문 시복식…빛난 시민의식 (0) | 2014.08.17 |
---|---|
중국에서 하지 말아야 할 일 (0) | 2014.08.17 |
멋진 동영상 (0) | 2014.08.12 |
망칙스런 과다노출 (0) | 2014.08.12 |
여기는 지상낙원이 아니다! 차라리 지옥이다. (0) | 2014.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