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어교육

明 心 寶 鑑 - 21. 增補篇

월명실 2013. 9. 4. 11:00

明 心 寶 鑑

 

1. 繼善篇 (선행을 이어가자)

2. 天命篇 (하늘의 명을 따르자)

3. 順命篇 (운명에 순응하자)

4. 孝行篇 (부모 은혜에 효도하자)

5. 正己篇 (올바른 성품으로 바르게 하자)

6. 安分篇 (분수에 만족하자)

7. 存心篇 (본래의 선한 마음 잘 보존하자)

8. 戒性篇 (좋은 품성을 갈고 닦자)

9. 勤學篇 (부지런히 배워 학문에 힘쓰자)

10. 訓子篇 (재물보다 기예를 가르쳐야 한다)

11. 省心篇 () 끊임없이 마음을 살피자)

12. 省心篇 () 끊임없이 마음을 살피자)

13. 立敎篇 (가르침을 세우자)

14. 治政篇 (정사를 다스리다)

15. 治家篇 (집안을 다스리다)

16. 安義篇 (인륜의 기본 의리를 갖자)

17. 尊禮篇 (사회적 질서 예를 따르자)

18. 言語篇 (진정한 언어생활을 하자)

19. 交友篇 (벗을 사귐에 도리가 있다)

20. 婦行篇 (부인의 행실에 덕이 있어야 한다)

21. 增補篇 (

22. 八反歌 (효행을 더욱 강조하자)

23. 孝行篇續 (효행을 재차 강조하였다)

24. 兼義篇 (청렴과 의리를 갖자)

25. 勤學篇 (배움의 길로 나아가자)

 

25283

 

21. 增補篇

21-1. 周易曰

善不積이면 不足以成名이요 / 선을 쌓지 않으면 이름을 이루기에 부족하고

선불적 부족이성명

惡不積이면 不足以減身이어늘 악을 쌓지 않으면 몸을 망치기에 부족하거늘

악불적 부족이감신

小人以小善으로 爲无益而弗爲也하고 소인은 조그마한 선으로서는 유익함이 없다 하여 행하지 않고

소인 이소선 위무익이불위야

以小惡으로 爲无傷而弗去也니라. 작은 악을 해로움이 없다 하여 버리지 않는다.

이소악 위무상이불거야

惡積而不可俺이요 罪大而不可解니라. 그러므로 악이 쌓여서 가리울 수 없고 죄가 커서 풀지 못한다.

 

 

21-2. 履霜하면 堅氷至하나니 臣弑其君하며 / 서리를 자꾸 밟으면 단단한 얼음이 된다.

이상 견빙지 신시기군 신하가 그 부모를 죽이는 것은

子弑其父 非一朝一夕之事其所由來者漸矣니라. / 하루아침 하루저녁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자시기부 비일조일석지사 기소유래자점의 거기에는 유래가 있어 점차 이루어진 것이다.

 

'외국어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明 心 寶 鑑 - 25.勤學篇  (0) 2013.09.08
明 心 寶 鑑 - 24. 廉義篇  (0) 2013.09.08
明 心 寶 鑑 - 23. 孝行篇 (續)  (0) 2013.09.04
明 心 寶 鑑 - 22. 八反歌 八首  (0) 2013.08.25
明 心 寶 鑑 - 20. 婦行篇  (0) 2013.08.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