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량식의 유래와 내용문
상량식의 유래와 내용
상량식(上樑式)은 집을 지을 때 기둥을 세우고 보를 얹은 다음 마룻대를 올리는 의식입니다. 다음의 설명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마룻대는 건물의 중심이며 가장 중요한 부분이므로 재목도 가장 좋은 것을 사용한다. 또 마룻대를 올릴 때는 떡·술·돼지머리·북어·백지 등을 마련하여 주인·목수·토역꾼 등이 새로 짓는 건물에 재난이 없도록 지신(地神)과 택신(宅神)에게 제사지내고, 상량문을 써서 올려놓은 다음 모두 모여 축연을 베푼다.
상량문은 머리에 '용(龍)'자를 龜자와 마주보게 쓰고 밑에는 '귀(龜)'자를 쓰고, 가운데 모년 모월 모일 모시 입주상량(立柱上樑)이라 쓴 다음 밑에 2줄로 '응천상지오광(應天上之五光) 비지상지오복(備地上之五福)' 등 축원의 글귀를 쓴다.
마룻대는 목수가 올리는데 대개 광목으로 끈을 하고 양쪽에서 잡아 올린다. 이때 건물주는 돈을 놓기도 하며, 마룻대에는 백지로 북어와 떡을 묶어 놓는데, 이것은 나중에 목수들이 떼어 먹는다.
상량날에는 대개 공사를 쉬고 이웃에 술과 떡을 대접한다.
龍(용 용)자와 龜(거북 귀)가 서로 마주 보고 있어 가정의 안녕을 지켜줌
용처럼 용맹하고 하늘을 다스리며 거북처럼 천년을 살아가며 지상을 좌우함
서기 2018년 11월 19일 오시(오전 10시-12시 사이)에 立柱(집을 세우는 일)를 위한 上樑(상양문이 씌어진 마룻대를 제자리에 세운다)식을 거행함
주택의 제작 年 月 日 時를 기록하여 후대에 남기기 위함
혹자는 제작 연월일 시각 우편에 부부명을 좌편에 도편수 이름을 기록해 두기도 함
應天上之五光(응천상지오광)은 하늘에 오색빛이 감응하시고
備地上之五福(비지상지오복)은 땅에서는 오복을 주시옵소서
오광(五光)이란 오행사상의 근원으로 木 火 土 金 水로 하늘에서 준 천명을 말하며
오복(五福)이란 서경에 나오는 수(壽) 부(富) 강령(降靈) 유호덕(攸好德) 고종명(考終命)을 말하는데 천명을 받아 우주오행의 상생작용으로 인간세상에서 우주의 다섯 가지 복을 바란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
더불어 설명하자면 수(壽)는‘남에게 누를 끼치지 않고 오래 사는 것’부(富)는‘마음이 넉넉한 것’건강(健康)은‘육신의 건강뿐만 아니라 가족의 평안까지를 포함하는 것’유호덕(攸好德)이란‘덕을 좋아해서 덕을 쌓고 베풀면서 사는 것’고종명(考終命)은 천명을 누리다가 평안하게 죽는 것‘을 말하며 인간은 오광과 오복을 하늘과 땅에 의존하며 생을 영위해 가고 있다 할 것이다
|
|
|
|
|
|
|
|
|
|
| 거꾸로씀 | 龍 | 용 |
|
|
|
|
|
|
|
| 西 | 서 |
|
|
| 紀 | 기 |
|
|
| 二 | 이 |
|
|
| 千 | 천 |
|
|
| 十 | 십 |
|
|
| 八 | 팔 |
|
|
| 年 | 년 |
|
|
| 十 | 십 |
|
|
| 一 | 일 |
|
|
| 月 | 월 |
|
|
| 十 | 십 |
|
|
| 九 | 구 |
|
|
| 日 | 일 |
|
|
| 午 | 오 |
|
|
| 時 | 시 |
|
|
| 立 | 입 |
|
|
| 柱 | 주 |
|
|
| 上 | 상 |
|
|
| 樑 | 량 |
|
| 備 | 비 | 應 | 응 |
| 地 | 지 | 天 | 천 |
| 上 | 상 | 上 | 상 |
| 之 | 지 | 之 | 지 |
| 五 | 오 | 五 | 오 |
| 福 | 복 | 光 | 광 |
|
|
|
|
|
|
| 龜 | 귀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