明心寶鑑 ( 20. 婦行篇 )
20. 婦行篇
20-1. 益智書云
女有四德之譽하니 一日婦德이요 二日婦容이요 / 여자가 네가지 덕의 아름다움이 있으니
여유필덕지예 일일부덕 이일부용 첫째는 부덕이요 둘째는 부용이요
三日婦言이요 四日婦工也니라. 셋째는 부언이요 넷째는 부공이다.
삼일부언 사일부공
20-2. 婦德者는 不必才名絶異요 / 부덕이라는 것은 반드시 재주와 이름이 뛰어남을 말하는 것은 아니요
부덕자 불필재명절이
婦容者는 不必顔色美麗요 부덕이라는 것은 반드시 얼굴이 아름답고 고움을 말하는 것이 아니요
불필안색미려
婦言者는 不必辯口利詞요 부덕이라는 것은 반드시 구변이 좋아 말 잘하는 것이 아니요
불필변구리사
婦工者는 不必技巧過人也니라. 부덕이라는 것은 반드시 손재주가 남보다 뛰어남을 말하는 것은 아니다.
불필기교과인야
20-5. 太公曰
婦人之禮는 語必細니라. / 부인의 예절은 말이 반드시 가늘어야 한다.
부인지예 어필세
20-6. 賢婦는 令夫貴요 / 어진 부인은 남편을 귀하게 하고
현부 영부귀
佞婦는 令夫賤이라. 악한 부인은 남편을 천하게 한다.
녕부 영부천
20-7. 家有賢妻면 夫不遭橫禍니라. / 집에 어진 아내가 있으면
가유현처 부불조횡화 그 남편이 뜻밖에 화를 만나지 않는다.
20-8. 賢婦는 和六親하고 / 어진 부인은 육친을 화목하게 하고
현부 화육친
佞婦는 破六親이니라. 간악한 부인은 육친의 화목을 깨뜨리느니라.
녕부 파육친 (六親 - 父. 母, 兄, 弟, 妻, 子이나 모든 친척을 말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