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이야기 왕방연의 그 눈물이-김동길 교수 월명실 2014. 11. 5. 17:46 ◆2014/10/18(토) -왕방연의 그 눈물이- (2362) 천만리 머나먼 길에 고은 님 여의옵고내 마음 둘 데 없어 냇가에 앉았으니저 물도 내안 같아여 울며 밤길 가는도다왕위를 찬탈한 수양대군이 세조가 되어, 법통을 이어 왕위에 오른 단종을 폐위케 하고 그를 영월로 유배 보내기로 결정하였습니다. 단종을 유배지까지 모시고 가라는 세조의 어명을 받고 거역할 수 없어, 책임을 다하고 한양으로 돌아가던 의금부도사(義禁部都事) 왕방연이 읊은 시조 한 수를 어쩌면 조선조 500년에 가장 슬픈 시 한 수라고 할 수 있습니다.왕방연은 아마도 청령포 강가에 앉아서 하염없이 눈물을 흘렸을 것입니다. 그의 쓰라린 가슴을 위로할 사람은 없는 듯 하였습니다. 그러나 역사는 결코 무심치 않습니다. 예방승지(禮房承旨) 성삼문과 그의 동지들은 영월에 귀양 가 있는 단종의 복위를 위해 목숨을 걸기로 결심한 선비들이었습니다. 삼족을 멸하리라는 위협 속에서도 그들은 굽히지 않았습니다.불행하게도 그들의 꿈은, 김 질의 밀고로 산산조각이 났고, 의인들은 모두 붙잡혀 잔인한 고문 끝에 죽임을 당하였으나 ‘사육신’의 가슴 속의 그 꿈은 450년 뒤에 의인 안중근의 가슴 속에 되살아 났고, 안중근의 그 꿈은 윤봉길이 되살릴 수 있었습니다.의인의 눈물이 역사를 바로 잡습니다.김동길www.kimdonggill.com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