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이야기 한국과 일본의 친선을 위해-김동길 교수 월명실 2014. 11. 2. 18:27 ◆2014/10/15(수) -한국과 일본의 친선을 위해- (2359) 한국인도 일본인도 한결같이, 그렇게 되기는 어렵겠다고 생각합니다. 일본인은, 정치와 경제와 문화가 많이 뒤떨어진 우리를 깔보는 경향이 있습니다. 한국인은 일제 36년을 용서 못하겠다면서 보복의 날을 고대하고 있는 듯 하니 두 나라의 친선이 본질적으로 어려운 과제입니다.경제 강국인 일본을 ‘쪽발이의 나라’라고 멸시하는 사람들이 지구상 어디에서도 찾아보기 어려운데, 그런 사람들이 한반도엔 많습니다. “너희들의 소위 전통문화라는 것이 거의 다 우리가 전해준 것 아니냐”고 한국인은 내심으로 일본을 비웃습니다. “그러니, 까불지마”라고 속으로는 한 마디씩 한국인은 모두 뇌까립니다. 한‧일 친선이 그래서 어렵습니다.단단한 중소기업을 40년이나 잘 이끌어온 ‘자강 그룹’의 민남규 회장이 일전에 나를 만나 이런 말을 했습니다. “한‧일 친선을 위한 방법이 하나 있습니다. 일본이 동경 긴자(銀座)에 안중근 동상을 세우고, 한국이 광화문 네거리에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 동상을 세울 때 비로소 한‧일 친선이 가능합니다.”희한한 착상입니다. 그러나 누구 동상을 먼저 세우느냐가 한‧일 친선을 어렵게 만듭니다. 안중근 동상을 먼저 세우면 우리가 응할 것이고, 이토 히로부미 동상을 우리가 먼저 세우면 일본이 응할 것입니다. 이 문제가 해결되지 않아서 한‧일 친선이 어렵습니다.김동길www.kimdonggill.com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