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 이야기

각종 나무 종자 채종 방법

월명실 2014. 8. 16. 17:00

 

◑ 종자채취 시기, 방법, 저장, 발아촉진

◑ 종자 매장 및 파종 방법 용어 정리

- 건사저장 : 종자를 파종하기 전에 마른 모래나 톱밥 등으로 종자를 건조하지 않도록 보관하는 방법

- 층 적 법 : 종자를 매장 시 종자와 축축한 모래를 층층으로 넣어서 마르지 않게 저장하는 방법

- 노천매장 : 종자를 구입 후 발아율을 촉진하는 매장 방법으로서 종자와 모래를 1:3의 비율로 혼합하여 배수가 잘되는 곳에 매장을 하는 것인데 깊이가 60~70cm 정도로 구덩이를 판 후 매장을 하는데 종자의 관리 보호를 위하여 및 바닥과 측면에 판자나, 철망 등을 이용하여 설치하거나 통풍이 되는 자루에 넣고 매장을 한다.

종자를 넣은 후 망을 이용하여 덮은 다음에 흙을 덮어주고, 겨울철에 건조가 오랫동안 지속되면 가끔 물을 주어서 건조를 막아준다.

- 직파. 상파 : 종자의 형태상 쉽게 발아되는 종류로서 좁은 면적이나, 넓은 면적에 대량으로 파종할 때 사용한다.

- 점 파 : 일정하게 이랑을 만들고 일정한 간격으로 종자를 하나씩 파종하는 방법 (종자의 알이 크거나 발아 후 이식이 잘 안 되는 것)

- 줄 파 : 일정한 간격으로 골을 만든 후 종자를 줄뿌림하는 것

- 산파(흩어 뿌림) : 적절한 밀도로 종자를 파종하는 방법. 종자를 대량으로 파종하는 경우

- 파종계절 : 가을의 파종은 발아의 조건이 땅속에 있어서 자연의 상태와 흡사하므로, 발아율도 상당히 높아 서리의 피해가 없는 한 가을에 파종하는 편이 유리하다.

- 복 토 : 묘판에 파종한 직후 씨를 흙으로 덮는 것을 말한다.

복토의 두께는 종자의 1~3배, 대개 2배 정도로 한다. 복토의 흙을 묘판에 만들 때, 우선 통로에서 준비하여 준다.

복토의 방법은 0.5~0.7cm의 철망체로 하지만, 내면적인 경우에는 대형체를 2명이 들고 다른 2명은 스코프체에 흙을 넣는다.

- 짚의 덮대 : 복토 직후에 짚으로 덮어주는 것이다. 덮개의 목적은 토양의 습도를 보존하고 풍우에 의해 토양이나 씨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발아 직후의 일광의 직사를 방지하는 것으로 발아 및 발아 초기의 환경을 좋게 짚을 덮는다.

짚은 묘판의 양면으로 부터 짚의 이삭 끝이 짚이 흩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짚 위에 묘판의 길이 방향으로 2~3줄의 새끼줄을 치고 대나무 꼬챙이나 두 갈래로 갈라진 나무 또는 철사 등으로 2m 간격으로 질러 놓는다.

덮어놓을 짚은 묘목이 발아한 후 약 1주일쯤에서 서서히 제거하고 전부 발아하게 되는 3주일쯤에서 모두 제거한다.

- 부숙사선

수집된 과실을 한 곳에 쌓아놓고 거적으로 덮고 물을 뿌려주면 과 피가 부숙되어 탈각되는데 일부 과피가 벗겨지지 않는 것은 발로 비벼서 벗기거나 모래를 섞어서 부비면 과피가 벗겨져 탈각된 종자는 체로 쳐서 종자를 가리는 방법이다.

- 부숙입선

밤나무, 가래나무, 호두나무, 칠엽수, 도토리, 목련 등 대립종자에 적용되는 것으로 부숙 시킨 후 과피를 갈퀴 등으로 제거하고 낱알 을 긁어모아 1립씩 눈으로 감별하면서 손으로 선별하는 방법이다.

- 부숙탈종

수집된 구과를 한곳에 쌓아놓고 가마니 또는 풀로 덮고 물을 뿌려 주어서 과피를 부숙시켜서 탈종하는 방법이다.

- 부숙수선

부숙탈각 한 후 물에 담아 종자를 가리는 방법이다.

- 양건풍선

수집된 종실을 햇빛에 말려서 탈각하는 데 수종에 따라서는 마른 다음 몽둥이로 두들겨서 탈각시키거나 발로 비벼서 탈각한 후 바람에 날려서 종자를 가리는 방법이다.

- 양건사선

햇빛에 말려서 탈각한 후 체로 쳐서 종자를 가리는 데 종자보다 눈금이 큰 체로 쳐서 종자를 가린 다음 다시 종자보다 작은 눈금의 체로 쳐서 작은 껍질을 제거하여 종자를 고르는 방법이다.

- 양건수선

햇빛에 말려서 탈각한 후 물통에 넣어 부유물을 제거하여 충실종자를 가리는 방법으로 건조상태로 저장하는 종자는 그늘에서 말린 다음 저장하고 노천 매장하는 종자는 말리지 않고 매장한다.

- 양건입선

햇빛에 말려서 탈각한 후 낱알을 긁어모아 눈으로 감별하면서 손으로 선별하는 방법이다.

- 음건사선

그늘에 말려서 탈각한 후 양건사선법과 같은 방법으로 종자를 가리는 방법이다.

- 음건입선

그늘에 말려서 탈각한 후 낱알을 긁어모아 눈으로 감별하면서 손으로 선별하는 방법이다.

- 음건수선

그늘에 말려서 탈각한 후 양건수선법과 같은 방법으로 종자를 가리는 방법이다.

- 음건풍선

수집된 종자는 그늘에 말려서 탈각하는 데 탈각하는 방법과 종자를 가리는 방법은 양건풍선법과 같다.

◑ 식물 종자의 발아 촉진법

◑ 화학적 방법

- 약품처리 : 털이 있거나 껍질이 단단한 경우 진한 황산처리

- 생장 조절제에 의한 방법 : 시토키닌, 에스렐 수용액, 지베렐린(양상추, 담배 등)

◑ 물리적 방법

- 기계적 처리 : 단단한 껍질을 깨뜨리는 방법(호도 등의 핵과류)

- 온탕 처리 : 섭씨 70-80도의 온탕에서 불리는 방법(장미, 상추, 앨펄퍼 등)

- 수세 및 침지 : 물에 씻거나 담그는 방법(당근, 우엉 등)

- 저온처리법 - 일정기간 저온에 두는 방법

- 층적저장법 - 모래와 섞어 묻어 두는 방법

◑ 각종 나무 종자 채취 방법 및 시기

- 가래나무

채취시기 - 9월 / 채취방법 - 장대 따기 / 정선방법 - 부숙입선

저장 발아 촉진 방법 - 습사저온저장, 노천매장

- 가문비나무

9월 - 훑어 따기 - 부숙수선 - 건조저장, 1∼2일 침수 파종

- 가중나무

10월 - 장대 따기 - 양건사선 - 건조저장, 1∼2일 침수 파종

- 갈매나무

9월 - 훑어 따기 - 부숙사선 - 노천매장

- 갈참나무

10월 - 훑어따기 - 음건입선 - 습사저온저장, 노천매장

- 개나리

9월 - 훑어따기 - 양건풍선 - 노천매장

- 개물푸레나무

9월 - 송이따기 - 음건풍선 - 저온저장, 노천매장

- 개박달나무

10월 - 장대따기 - 음건사선 - 건조저장, 1∼2일 침수 파종

- 개벚나무

7월 - 훑어따기 - 부숙수선 - 습사저온저장, 노천매장

- 개오동나무

10월 - 가위채취 - 양건사선 - 노천매장

- 거제수나무

9월 - 장대따기 - 음건사선 - 건조저장, 1∼2일 침수 파종

- 계수나무

10월 - 훑어따기 - 양건사선 - 노천매장

- 고나무

9, 10월 - 가위채취 - 양건풍선 - 건조저장, 1∼2일 침수 파종

- 고로쇠나무

9월 - 가위채취 - 음건풍선 - 약습사저온저장, 노천매장

- 광나무

9월 - 장대따기 - 음건사선 - 노천매장

- 괴불나무

8, 9월 - 가위채취 - 부숙사선 - 밀봉보습저온저장, 노천매장

- 구상나무

9, 10월 - 훓어따기 - 부숙수선 - 보습저온, 노천매장, 채종즉파

- 굴참나무

10월 - 훑어따기 - 음건입선 - 습사저온저장, 노천매장

- 까마귀밥여름

9월 - 장대따기 - 부숙수선 - 보습저온저장, 노천매장

- 까치박달나무

10월 - 장대따기 - 건탈종풍선 - 보습저온저장

- 낙엽송

9월 - 장대따기 - 부숙수선 - 건조저장, 1∼2일 침수 파종

- 낙우송

11월 - 장대따기 - 양건사선 - 밀봉저온저장

- 난티나무

5월 - 훑어따기 - 음건풍선 - 보습밀봉저온저장, 채종즉시파종

- 난티잎개암나무

9월 - 훑어따기 - 건탈종풍선 - 습사저온저장, 노천매장

- 노간주나무

10월 - 훑어따기 - 양건수선 - 노천매장

- 노린재나무

11월 - 장대따기 - 부숙사선 - 노천매장

- 누리장나무

10월 - 훑어따기 - 양건타작사선 - 노천매장

- 눈측백

10월 - 장대따기 - 양건풍선 - 건조저장, 1∼2일 침수 파종

- 느릅나무

5월 - 훑어따기 - 음건풍선 - 보습밀봉저온저장, 채종즉시파종

- 느티나무

10월 - 훑어따기 - 음건수선 - 보습밀봉저장, 1∼2일 침수 파종

- 다릅나무

9월 - 훑어따기 - 음건수선 - 습사저온저장, 노천매장

- 달피나무

8월 - 훑어따기 - 양건풍선 - 습사저온저장, 채종즉시 파종

- 당단풍나무

9월 - 가위채취 - 음건풍선 - 약습사저온저장, 노천매장

- 동백나무

9, 10월 - 송이따기 - 음건수선 - 습사저온저장

- 들메나무

9월 - 가위채취 - 음건풍선 - 습사저온저장, 노천매장

- 때죽나무

9월 - 훑어따기 - 음건풍선 - 습사저온저장, 노천매장

- 떡갈나무

10월 - 훑어따기 - 음건입선 - 습사저온저장, 노천매장

- 리기다소나무

10월 - 장대따기 - 양건풍선 - 건조저장, 1∼2일 침수 파종

- 만주해송

9, 10월 - 가위채취 - 양건풍선 - 건조저장, 1∼2일 침수 파종

- 말채나무

9, 10월 - 훑어따기 - 음건사선 - 보습저온저장, 1∼2일 침수파종

- 무궁화

10월 - 훑어따기 - 음건수선 - 밀봉보습저온저장, 1∼2일 침수 파종

- 물갬나무

10월 - 훑어따기 - 양건풍선 - 건조저장, 1∼2일 침수 파종

- 물오리나무

10월 - 장대따기 - 양건풍선 - 건조저장, 1∼2일 침수 파종

- 물참나무

10월 - 훑어따기 - 음건입선 - 습사저온저장, 노천매장

- 물푸레나무

9월 - 가위채취 - 음건풍선 - 습사저온저장, 노천매장

- 박달나무

10월 - 장대따기 - 음건사선 - 건조저장, 1∼2일 침수 파종

- 박태기나무

10월 - 훑어따기 - 음건수선 - 보습저온저장, 노천매장

- 밤나무

9월 - 훑어따기 - 음건수선 - 습사저온저장, 노천매장

- 방크스소나무

11월 - 가위채취 - 양건풍선 - 건조저장, 1∼2일 침수 파종

- 백당나무

9월 - 가위채취 - 양건사선 - 노천매장

- 벽오동나무

10월 - 송이따기 - 양건사선 - 밀봉보습저온저장, 1∼2일 침수 파종

- 복자기나무

9월 - 가위채취 - 음건풍선 - 약습사저온저장, 노천매장

- 복장나무

9월 - 가위채취 - 음건풍선 - 약습사저온저장, 노천매장

- 분비나무

9월 - 훓어따기 - 부숙수선 - 보습저온, 노천매장, 채종즉파

- 붉가시나무

9월 - 장대따기 - 음건수선 - 건사·톱밥혼합저온저장, 채종즉파

- 붉나무

10월 - 훑어따기 - 음건수선 - 건조저장, 1∼2일 침수 파종

- 비수리

10월 - 송이따기 - 양건사선 - 건조저장, 2∼3일 침수 파종

- 비슬나무

5월 - 훑어따기 - 음건풍선 - 보습밀봉저온저장, 채종즉시파종

- 비자나무

10월 - 장대따기 - 부숙수선 - 습사저온저장, 노천매장, 채종즉시 2∼3일 침수 파종

- 뾰족잎오리나무

10월 - 장대따기 - 건탈종풍선 - 밀봉저장, 1∼2일 침수 파종

- 사스레나무

9월 - 장대따기 - 양건풍선 - 건조저장, 1∼2일 침수 파종

- 사철나무

10월 - 훑어따기 - 양건풍선 - 노천매장

- 산겨릅나무

9월 - 가위채취 - 음건풍선 - 약습사저온저장, 노천매장

- 산딸나무

9월 - 장대따기 - 양건탈종사선 - 노천매장

- 산사나무

10월 - 장대따기 - 부숙수선 - 보습저온저장, 노천매장

- 산수유

9월 - 훑어따기 - 부숙탈종수선 - 습사저온저장 2년차 봄파종

- 산초나무

9월 - 훑어따기 - 양건마찰풍선 - 습사저온저장, 노천매장

- 삼나무

10월 - 장대따기 - 양건풍선 - 밀봉저온저장, 1∼2일 침수 파종

- 상수리나무

10월 - 훑어따기 - 음건입선 - 습사저온저장, 노천매장

- 생강나무

9월 - 장대따기 - 부숙수선 - 노천매장

- 생달나무

11월 - 장대따기 - 음건사선 - 노천매장

- 서어나무

9월- 장대따기 - 건탈종풍선 - 보습저온저장

- 수수꽃다리

9월 - 훑어따기 - 양건풍선 - 노천매장

- 쉬나무

9월 - 훑어따기 - 양건풍선 - 습사저온저장, 노천매장

- 스트로브잣나무

8월 - 장대따기 - 부숙수선 - 습사저온저장, 노천매장

- 신갈나무

10월 - 훑어따기 - 음건입선 - 습사저온저장, 노천매장

- 싸리

10월 - 송이따기 - 양건사선- 건조저장, 2∼3일 침수 파종

- 아까시나무

10월 - 송이따기 - 음건풍선 - 건조저장, 온탕처리, 농유산처리 파종

- 야광나무

10월 - 훑어따기 - 부숙수선 - 보습저온저장, 노천매장

- 약밤나무

9월 - 훑어따기 - 음건수선 - 습사저온저장, 노천매장

- 염주나무

8월 - 훑어따기 - 양건입선 - 습사저온저장, 채종즉시 파종

- 오갈피나무

10월 - 훑어따기 - 부숙사선 - 노천매장

- 오동나무

10월 - 장대따기 - 양건사선 - 건조저장, 습사혼합파종

- 옻나무

10월 - 훑어따기 - 양건수선- 노천매장, 황산처리, 열탕처리

- 은행나무

9, 10월 - 장대따기 - 부숙수선 - 습사저온저장, 노천매장

- 음나무

9월 - 송이따기 - 부숙수선 - 습사저온저장

- 이팝나무

10월 - 가위채취 - 양건사선 - 노천매장

- 일본목련

8월 - 장대따기 - 부숙수선 - 습사저온저장, 채종즉시 파종

- 잎갈나무

9, 10월 - 장대따기 - 부숙수선 - 건조저장, 1∼2일 침수 파종

- 자귀나무

9, 10월 - 장대따기 - 음건풍선 - 습사저온저장, 노천매장

- 자작나무

9월 - 장대따기 - 양건풍선 - 건조저장, 1∼2일 침수 파종

- 잣나무

9월 - 장대따기 - 부숙수선 - 습사저온저장, 노천매장

- 전나무

9월 - 훓어따기 - 부숙수선 - 보습저온, 노천매장, 채종즉파

- 족제비싸리

10월 - 훑어따기 - 양건풍선 - 건조저장, 2∼3일 침수 파종

- 졸참나무

10월 - 훑어따기 - 음건입선 - 습사저온저장, 노천매장

- 종비나무

9월 - 훓어따기 - 부숙수선 - 건조저장, 1∼2일 침수 파종

- 주목

9월 - 훓어따기 - 부숙수선 - 보습저온, 노천매장, 채종즉파

- 주엽나무

10월 - 훑어따기 - 음건수선 - 보습저장, 2∼3일 침수 파종

- 중국굴피나무

10월 - 훑어따기 - 양건풍선 - 노천매장

- 쥐똥나무

10월 - 훑어따기 - 부숙수선 - 노천매장

- 쪽동백나무

10월 - 훑어따기 - 음건풍선 - 습사저온저장, 노천매장

- 찔레꽃

10월 - 훑어따기 - 부숙수선 - 보습저온저장, 노천매장

- 찰피나무

8월 - 훑어따기 - 부숙사선 - 노천매장

- 참싸리

10월 - 송이따기 - 양건풍선 - 건조저장, 2∼3일 침수 파종

- 참죽나무

9월 - 장대따기 - 양건사선 - 건조저장, 1∼2일 침수 파종

- 측백나무

10월 - 훓어따기 - 양건풍선 - 건조저장, 1∼2일 침수 파종

- 층층나무

9월 - 장대따기 - 양건탈종사선 - 보습저온저장,1∼2일 침파,채종즉파

- 칡

10월 - 송이따기 - 양건사선 - 온탕처리, 농유산처리 파종

- 튜립나무

10월 - 장대따기 - 음건풍선 - 노천매장

- 팥배나무

10월 - 장대따기 - 부숙수선 - 보습저온저장, 노천매장

- 팽나무

10월 - 훑어따기 - 양건사선 - 습사저온저장, 노천매장

- 편백

9, 10월 - 훓어따기 - 양건풍선 - 건조저장, 1∼2일 침수 파종

- 푸조나무

10월 - 훑어따기 - 음건사선 - 노천매장

- 풀싸리

10월 - 송이따기 - 양건풍선 - 건조저장, 2∼3일 침수 파종

- 풍게나무

10월 - 장대따기 - 부숙수선 - 노천매장

- 피나무

8월 - 훑어따기 - 부숙사선 - 노천매장

- 해송

9, 10월 - 가위채취 - 양건풍선 - 건조저장, 1∼2일 침수 파종

- 향나무

10월 - 훑어따기 - 양건수선 - 노천매장

- 헛개나무

9월 - 훑어따기 - 양건사선 - 건조저장, 1∼2일 침수 파종

- 호도나무

9월 - 장대따기 - 부숙입선 - 건조저장, 1∼2일 침수 파종

- 화백

10월 - 훑어따기 - 양건풍선 - 건조저장, 1∼2일 침수 파종

- 황벽나무

11월 - 장대따기 - 부숙탈종사선 - 약습사 저온저장

- 회양목

7, 8월 - 장대따기 - 양건풍선 - 채취즉시 파종

- 회화나무

9월 - 훑어따기 - 음건수선 - 습사저온저장, 노천매장